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마음챙김mindfulness와 명리학의 접목 가능성
    명리 단상 2019. 2. 9. 01:52

    마음챙김mindfulness와 명리학의 접목 가능성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마음챙김에 대해 스터디를 하였다. 명리의 심리적 적용을 하는데 있어, 서양 심리학이 불교의 이론과 실제를 어떻게 접목하고 있는지의 양상을 알면, 명리에의 적용도 요원한 일이 아닐 것이라는 확신이 든다. 


    특히 일간을 중심으로 각각 상생상극하는 양상에 따라 나타나는 인지, 감정, 행동의 자연스럽고 무조건적인 반응에 대해 알아차리고 그 기운의 흐름을 느껴보고 우회하거나 강화하거나 차단하는 등의 방법(자신에 대한 무비판적인 수용과 연민에 기초한다는 전제하에)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있을 것 같다.


    아니 어쩌면, 우회하거나 강화하는 등의 노력이 무력할 수도 있다. 그 무의식적 반응이라는 것을 통제한다는 것이 어디 쉬운 일이겠는가. 하지만 그러한 행동이 있다는 것을 지금-여기에서 알아차리는 것만으로도 큰 효과가 있을 것은 자명하다.





    ------------------------------------------------------------------------------------------------------------------------------------------------------

     

    주제: 마음챙김과 미술치료 Mindfulness Art Therapy (MBAT)

     

     

    마음챙김mindfulness이란?

    - 지금 여기 떠오르는 생각 알아차리기 (위파사나(Vipassanā), ()), 관조觀照하기

    - 주의 기울이기, 마음가짐

    - 괴로움의 종식 (불교는 왜 진실인가, 2019)

    -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인지하기 위해 오감을 사용해 현재의 순간에 완전하게 존재하는 것 (176:1)

    - 보통 우리는 1차 자극을 느끼고 거기에 대해 2차 반응을 하는데(1차 자극 -> 2차 반응), 마음챙김 명상은 1차 자극(감각, 생각 등)을 그대로 느끼되 거기에 대하여 불필요한 2차 반응을 보이지 않도록(필요한 2차 반응만 하는 방향으로), 노력하고자 하는 명상 (나무위키, 20190109)

     

    마음행김 미술치료

    - 미술치료의 이론 그리고 실제 치료 활동에 불교 개념 접목

     

    불교 개념

    - 연기론(인과론), 깨달음을 통한 열반, 만물(자기)에 대한 자비, 명상 수행 등

     

    인지행동치료(CBT)의 자기분석 기법과의 유사성

    - 인지와 사고를 사용해 의식을 완전하게 현재 이 순간으로 이동시키는 일

    - 마음 수련을 통한 정신적 고통의 해소

     

    라파포트(Rappaport)초점 지향 미술치료, FOAT’

    - 집중하기 FOcusing ATtitude (불교식으로 삼매’)

    : 미술치료 과정에서 자기연민을 깊어지게 하며, 태풍의 눈(문제의 핵심)에 머무르도록 함

    : 자기 내부 속 느껴지는 감각에 대해 친근한 태도를 갖는 것’, 즉 수용적이고 비판단적

    이며 환영해 맞이하는 것 (불교식으로 미륵의 미덕)

    : 종종 자기 자신을 친구로 만들 수 있는 매우 놀라운 방법

     

    초점 지향 미술치료, FOAT’의 기본원칙 3가지

    깊이 듣기(deep listening, 닻 내리기(grounding), 집중하기)

    - 존재(presence, 현재 이 순간을 인지하고 연민으로 수용하는 것)

    FOAT 체크인: ‘내적 느낌에 집중하기 통찰 감각(felt sense)을 활용해 예술로 표현

    예술로 마음 속 공간 정리하기: 몸 밖으로 스트레스 끄집어내기 참자기(me), 만사형통 의 공간(all fine place)


    초점 지향 미술심리치료

    - 마음챙김 5단계에 근거: 감정 알아차리기, 그 감정과 하나 되어 함께하기, 감정 추스르기,

    감정 풀어주기, 깊이 바라보기

    (‘두려움이여, 가라, 넌 내가 아니야두려움아 안녕. 오늘 기분이 어떠니?’)

     

    마음챙김을 접목한 미술치료

    - 샤피로(Shapiro)의도, 주목, 태도 등이 스튜디오 미술치료에서 뚜렷하게 나타남

    목격(witnessing): 참가자들이 그들의 마음 상태와 예술의 내용을 인지하는 과정

    목격 기록(witness writing): 참가자들이 그들의 경험을 정리하고 기록하는 기법

    목격자 의식(witness consciousness): 무비판적 태도로 주의 집중하여 마음속 이야기 듣기

    지금 여기에 존재하기’: ‘관심 기울이기는 신체의 내적, 외적 순간순간의 경험을 인지 하는 행위로, 모든 방식의 경험을 해석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지금 여기의 경험에 집중 하는 일 (현상학, 판단중지(epoche), 후설, 하이데거 등)

    피터슨(Peterson 2014): 미술재료에 집중하여 마음으로 탐구하기, 디지털 사진 콜라주 등

    (Chang 2014): 인간 중심 치료법인 현재에 집중하기, 깊이 듣기, 무비판적 인지

    tea 명상수련을 통한 현존의 경험과 인지 정돈 과정

    *The Buddha Board: 선불교 개념 기초, 일시적 현존 세계 관찰

    와이너와 라파포트(Weiner and Rappaport): 좌식 명상, 보행 명상 등 단순한 마음챙김 기법 고안/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FOAT으로 자기 친절 일기와 예술의 결합

    아이시스(Isis 2014): 마음챙김 기반의 스트레스 해소법(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이 병원 환경에 적합하다는 입장/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 해소, 회복력 향상/ 신체적 경험 반영과 같은 자신의 반응에 주목하여 무비판적 수용을 연습

    프랭클린(Franklin 2014): 미술치료 지망생이 마음챙김을 배우는 이유가 마음챙김이 온전하게 현재 이 순간에 있을 수 있고 숙련된 치료나 상담에 필수적이라고 주장/ ‘탈동일시(disidentification, Walsh and Shapiro 2006)/ 명상으로 인식과 감각을 강화하여 생각에 반응하기 보다, 생각을 관찰라는데 익숙하게 함

    짐머만(Zimmerman): 무조건적으로 존재하기(unconditional presence): 따뜻하고 수용적인 태도로 자신에 대해 판단하기

     

     

    자비로 치료하기

    - 불교의 핵심교리: 자기 자신과 타인을 향한 자비를 갖는 것

    - 라파포트: 연민, 감사, 용서, 관대함을 테마로 자기연민 유도 명상등을 실시

    - 몬티(Monti et al. 2006): 마음챙김 미술치료 시, 암환자 삶의 질 향상

    - 명상과 만트라를 외치는 마음챙김 치료로 얻어진 휴식 반응’: 고혈압, 불안, 불면, (스트레스로 인한) 노화 등 스트레스 장애의 임상적 역효과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으로 판명됨

    - 신체적 장애의 장기적 회복력 유효성은 연구 중..

    - 신진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 염증 반응, 면역, 스트레스 기능 관련 특정 유전자의 스위치

    를 켜고 끌 수 있다.



    연구현황

    [KCI등재]

    - 학술연구,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예비미술치료사의 마음챙김기술 증진에 미치는 효과, 채부교, 미술치료연구, 2018

    학술연구, 마음챙김 명상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기조절과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효과, 최선임,이미선, 미술치료연구, 2015

    - 박사학위 논문,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표현예술치료가 산재환자의 PTSD 증상 감소에 미치는 효과, 신지은,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2012

     

    본 연구는 산재환자의 PTSD 치료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표현예술치료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마음챙김은 비반응적인(nonreactive) 방식으로 주의를 확장하는 것으로 과거의 습관적, 자동적 반응들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 목표이다.이를 통해 좌절과 후회 같은 감정들이라도 그것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도록 하는 것(Segal,Williams& Teasdale,2006)으로 통증과 같은 각종 심인성 장애는 물론 공황발작,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적 장애와 심장병, 피부병, 비만증 및 암의 치료 효과를 높이고, 면역체계의 기능을 높이는 등 스트레스에 기인하는 많은 종류의 신체질병의 예방과 치유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장현갑, 2004).특히, 마음챙김(Mindfulness)은 정서적 고통과 부적응적 행동에 기여하고 정신적 과정의 변화를 가져오는 데 도움이 되어 PTSD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다(Bishop,Lau,Shapiro,Carlson,Anderson,Carmody & Devins,2004;Thompson,Arnkoff& Glass,2011). 이러한 마음챙김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수련할 수 있고,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을 계속적으로 주시함으로써 순간집중을 통한 통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마음챙김은 숙달과 고도의 집중력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김정호,2010).”

     

    - 학술연구,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표현예술치료가 중학생의 우울 및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 신지은,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심리치료센터, 2013

    학술연구, -자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 마음챙김 미술치료 사례연구강미애, 최윤형,

    한국예술치료학회지, 2012

     

     

    추천도서

    - 로버트 라이트, <불교는 왜 진실인가>, 이재석 역, 마음친구, 2019

    마음챙김 등의 명상 훈련은 집착과 혐오의 느낌이 우리에게 휘두르는 영향력을 약화시킨다. (중략) 집착과 혐오의 노예 상태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이런 느낌에 대해 지금까지와 다른 방식으로 관계 맺음으로써 어떤 느낌에 더 많이 관여할지 주체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 느낌과 새로운 관계를 맺으면 경이감, 연민, 미적 감각 등의 느낌이 더 커질 수 있다.”

     

    - Laury Rappaport, <마음챙김과 예술치료 :이론과 실제>, 최은영 외 역, 학지사, 2018

     

Designed by Tistory.